lnb영역
커뮤니티
컨텐츠 내용
- 자료실
자료실
[뉴스] 서울시 발주 모든 공사에 스마트 건설 기술 적용…품질 높인다 | 관리자 / 2025.03.13 | |
서울시 발주 모든 공사에 스마트 건설 기술 적용…품질 높인다
건설공사 전 단계 정보, 3D 모델 반영해 통합 관리(서울=뉴스1) 전준우 기자 = 서울시가 발주하는 모든 공사에 스마트 건설 기술을 적용, 품질 개선에 나선다.
시는 서울형 건설정보모델링(BIM) 설계 기준 시행, 2030년까지 서울시 발주 모든 공사에 스마트 건설 기술을 적용한다고 13일 밝혔다.
BIM이란 계획·설계·조달·시공·유지관리 등 건설공사 전 단계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3D 모델에 반영해 단계별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이다.
BIM은 '스마트 건설기술'의 핵심이 되는 기술로, 건설 과정의 생산성과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다. 서울시가 신규 발주하는 대형 공사인 턴키 등 기술형 입찰공사·민간투자 사업에 대해 설계단계부터 BIM을 적용하는 방안을 3월부터 즉시 시행한다. 총공사비 300억 원 이상은 2027년부터, 총공사비 100억 원 이상은 2029년부터 적용을 검토한다.
앞으로 시가 발주하는 스마트 건설기술 적용 의무 대상 건설공사에 대한 감리도 BIM 데이터를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 건설기술을 활용하도록 하고 이를 위한 적정 대가를 반영한다. 신규 발주 대형 공사 외에도 기존 공공인프라에 대한 효율적 유지관리에도 스마트 건설기술이 적용된다.
이를 위해 한강 교량 대상 드론 자동 측량, IoT,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스마트 유지관리 시범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시범 사업 후 결과를 토대로 중장기적으로 터널, 상·하수도, 공공건축물 등 타 시설까지 서울형 스마트 유지관리 체계를 적용할 계획이다.
김승원 서울시 건설기술정책관은 "혁신 기술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서는 초기 과감한 투자와 시도가 필요한 만큼 적정 대가 반영을 통해 업계 부담은 최소화하고 시행 과정에서의 문제점 등은 모니터링, 관련 전문가 의견 청취 등을 통해 지속해서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오세훈 서울시장. 2023.7.19/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SC1 스마트 건설기술 [BIM]
![]()
|
이전 글 |
![]() |
2025.03.18 |
다음 글 | 2025.03.12 |